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담화(Discourse)와 내러티브(Narrative)관계

by 강아지톡톡-아지톡 2024. 9. 2.
반응형

우리는 오늘 담화라는 거대한 담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야기(Story)는 담화(Discourse)와 내러티브(Narrative)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 세 요소는 상호작용하면서 스토리텔링의 전체 과정을 구성합니다. 각각의 역할을 명확히 이해하면, 이야기가 담화와 내러티브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더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한번 해봅시다.

이야기(Story)의 역할과 위치

1. 이야기의 핵심 요소: 이야기는 스토리텔링의 기본 단위로서, 사건과 등장인물, 배경 등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내용을 의미합니다. 이야기에는 주인공이 어떤 문제에 직면하고, 그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이 포함됩니다. 이 사건들과 등장인물, 그리고 배경은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주요 구성 요소입니다.

2. 이야기와 담화의 관계: 담화는 이야기를 전달하는 전체적인 틀과 맥락을 제공합니다. 즉, 이야기는 담화 안에서 전개됩니다. 담화는 이야기를 어떤 주제나 메시지로 엮어내고, 어떤 방식으로 청중에게 전달할지를 결정합니다. 담화는 이야기를 특정한 방식으로 조직하여 청중이 그 이야기를 통해 어떤 의미를 발견하도록 유도합니다. 따라서 담화는 이야기를 포괄하는 상위 개념이며, 이야기를 의미 있는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조화합니다.

3. 이야기와 내러티브의 관계: 내러티브는 이야기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를 결정합니다. 내러티브는 이야기의 전개 방식, 서술자, 시점, 그리고 매체적 표현을 포함하여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풀어나갈지를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이야기도 1인칭 시점에서 전개되느냐 3인칭 시점에서 전개되느냐에 따라 청중의 경험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내러티브는 이야기를 생동감 있게 만들고, 청중이 이야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따라가며 몰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from matplotlib_venn import venn3

# Define the diagram
venn = venn3(subsets=(1, 1, 1, 1, 1, 1, 1), set_labels=("Story", "Narrative", "Discourse"))

# Customize the colors
venn.get_label_by_id('100').set_text("")
venn.get_label_by_id('010').set_text("")
venn.get_label_by_id('001').set_text("")
venn.get_label_by_id('110').set_text("Storytelling")
venn.get_label_by_id('011').set_text("")
venn.get_label_by_id('101').set_text("")
venn.get_label_by_id('111').set_text("")

# Show the diagram
plt.title("Interaction between Story, Narrative, and Discourse in Storytelling")
plt.show()

이들의 관계는 3가지요소로 이루어 집니다.

이야기와 담화, 내러티브의 상호작용

종합적으로: 이야기는 담화와 내러티브의 중심에 위치하며, 이 둘에 의해 구성되고 전달됩니다. 담화는 이야기를 맥락화하고, 그 주제와 메시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내러티브는 이 맥락 안에서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달할지, 어떤 형식과 구조를 사용할지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이야기는 담화와 내러티브를 통해 조직화되고 의미가 부여되며, 청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이야기는 단순한 사건의 나열에서 벗어나, 청중에게 감동을 주고, 의미를 전달하는 강력한 도구로 발전하게 됩니다. 이야기는 담화와 내러티브와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해, 청중의 마음속에 깊이 각인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됩니다.  여기서 도구적 관점에서 이야기를 바라보았을 때, '텔링(Telling)'이라는 개념이 떠오른 이유는 뭘까? 곰곰히 생각해봅니다. 그 이유들은 어떤 것일까요?

스토리텔링

1. 이야기의 전달 목적:

이야기가 단순한 사건의 나열에서 벗어나 청중에게 감동과 의미를 전달하는 강력한 도구로 발전한다는 것은, 이야기가 단지 존재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야기는 반드시 전달(텔링)되어야 그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야기 자체보다 이야기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라는 질문이 떠오를 수 있습니다. 즉, 이야기의 텔링(Telling) 측면이 강조됩니다.

2. 내러티브와 텔링의 연결성:

내러티브(Narrative)는 이야기를 구성하고 전달하는 방식에 관한 것입니다. 내러티브는 이야기를 어떻게 전개할지, 어떤 시점에서, 어떤 서술자를 통해 전달할지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내러티브는 텔링의 구체적인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도구적 관점에서 내러티브는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수단이 되며, 이 때문에 텔링적인 사고가 자연스럽게 연상됩니다.

3. 스토리텔링의 최종 목표:

스토리텔링의 궁극적인 목표는 청중과의 소통입니다. 소통은 단순히 이야기를 구성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그것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춥니다. 도구적 관점에서 스토리텔링은 청중에게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텔링의 개념과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4. 이야기의 효용성:

도구적 관점에서 이야기의 효용성은 그 이야기가 얼마나 잘 전달되었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이야기의 힘은 텔링, 즉 이야기 전달 방식에 의해 극대화되거나 감소될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텔링은 이야기를 생동감 있게 하고, 청중의 감정과 연결되게 하며, 궁극적으로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마무리

'이야기가 단순한 사건의 나열에서 벗어나 청중에게 감동과 의미를 전달하는 강력한 도구로 발전한다는 것은, 이야기가 단지 존재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이야기를 도구적으로 바라볼 때, 텔링적인 생각이 자연스럽게 떠오르게 된 것입니다. 이야기가 청중에게 어떻게 전달되느냐가 그 자체로 중요한 도구적 관점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