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야기의 플롯종류

by 강아지톡톡-아지톡 2024. 5. 18.
반응형

        이야기의 플롯

        이야기에서 플롯의 중요성은 이야기의 구조와 전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플롯은 이야기의 골격이며, 독자나 관객에게 이야기를 전달하고 흥미를 유발하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플롯은 이야기의 뼈대와 같은 역할을 하며, 드라마 극쓰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플롯은 이야기의 핵심적인 요소로서 글쓰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플롯이 잘 구성되어 있을 때 독자나 관객은 이야기에 더욱 몰입할 수 있고,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1)플롯(Plot, μύθος)이란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롯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보았습니다. 플롯은 사건의 구조와 배열을 의미하며, 비극의 핵심입니다. 그는 플롯을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는데, '복합 플롯'과 '단순 플롯'로 나눕니다. 복합 플롯은 인식과 반전 같은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더 복잡한 서사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쉬운 목차

                스토리::

                '흠---내가 정말 쏘면, 난 나쁜 놈이 되겠지?"

                                            "왜 난 항상 내문제 앞에서 도망만 칠까?"

                플롯::

                "경찰이다!  움직이면 쏜다!"

                                                  "잡혔군!  하지만 날 사내로 데려갈 순 없을거야!"

                주제::

                /이야기를 보면, 관객은 의미를 파악한다.

                "인생은 영원히 풀리지 않는 숙제야"

                "선과 악은 공존하는 군"

                "우리는 우리 자신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어"

                이야기>플롯>주제

                2) 플롯의 종류

                플롯의 종류는 다양한 이야기 구조와 전개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전통적인 유형과 현대적인 변형들이 포함되며, 각각의 플롯은 독특한 이야기 전개 방식을 특징으로 합니다. 주요 플롯의 종류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직선형 플롯 (Linear Plot):

                • 이야기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됩니다. 사건이 발생하는 순서대로 서술되어 독자가 쉽게 따라갈 수 있습니다.
                • 예: 많은 전통적인 동화와 모험 소설.

                2. 비선형 플롯 (Non-linear Plot):

                • 이야기가 시간 순서에 얽매이지 않고, 사건들이 다양한 순서로 제시됩니다. 플래시백, 플래시포워드, 병렬 서사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예: 쿠엔틴 타란티노의 영화 "펄프 픽션".

                3. 순환형 플롯 (Circular Plot):

                • 이야기의 시작과 끝이 동일하거나 비슷한 상태로 돌아오는 구조입니다. 주인공이 원래 위치로 돌아오지만, 경험을 통해 변화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 예: 호머의 서사시 "오디세이아".

                4. 에피소드형 플롯 (Episodic Plot):

                • 여러 독립적인 사건들이 모여 하나의 전체 이야기를 구성합니다. 각 에피소드가 독립적인 이야기를 가지면서도 전체적인 주제를 공유합니다.
                • 예: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

                5. 퀘스트형 플롯 (Quest Plot):

                • 주인공이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모험을 떠나는 구조입니다. 여정 도중 다양한 도전과 장애물을 만나며,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성장합니다.
                • 예: J.R.R. 톨킨의 "반지의 제왕".

                6. 성장형 플롯 (Bildungsroman):

                • 주인공의 성장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야기입니다. 주인공이 어린 시절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의 경험과 성장을 다룹니다.
                • 예: 찰스 디킨스의 "위대한 유산".

                7. 비극형 플롯 (Tragic Plot):

                • 주인공이 불행한 결말에 이르는 이야기입니다. 주로 주인공의 결함이나 실수, 피할 수 없는 운명으로 인해 비극적 결말에 도달합니다.
                • 예: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

                8. 코미디형 플롯 (Comedy Plot):

                • 주로 유머와 오해, 대조적인 인물들이 엮여 웃음을 유발하며, 대부분의 경우 행복한 결말로 끝나는 이야기입니다.
                • 예: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한여름 밤의 꿈".

                9.재발견 플롯 (Rebirth Plot):

                • 주인공이 큰 변화를 경험하며 새로운 깨달음을 얻고, 결국 더 나은 사람이 되는 이야기입니다.
                • 예: 찰스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럴".

                10. 변형형 플롯 (Transformation Plot):

                • 주인공이 물리적, 정신적, 정서적으로 큰 변화를 겪는 이야기입니다. 주인공의 변화가 이야기의 핵심 요소로 작용합니다.
                • 예: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11. 이 외에도 다양한 플롯:

                다양한 플롯이 존재하며, 현대 문학에서는 여러 플롯 유형을 혼합하거나 변형하여 독창적인 이야기를 구성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각 플롯 유형은 독자의 기대와 감정에 다양한 방식으로 호소하며, 이야기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됩니다.

                3) 플롯의 단계

                소설의 플롯은 인과관계에 의한 스토리(사건)의 배열이기 때문에 그 전개에 있어서 논리성을 배제할 수 없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 (Poetica)'에서 시작-중간-끝의 법칙을 말한 이래, 희곳이나 소설은 구조의 단계가 있어야 할 것으로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주장되어 왔다. 시드필드는 시학을 기초로 3막구조를 말하고 있다. 사건의 전개와 갈등의 해소과정에 중점을 두어 플롯의 단계를 설정하는 것은 행위의 문학인 희곡의 구조에서 유추되는 것으로, 시학을 처음-중간-끝의 기본적인 단계로 하고, 방식에 따라 4단계, 5단계, 6단계 등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소설의 구성은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의 다섯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를 3막에 적용하기도 한다.

                각각의 단계는 이야기를 조직화하고 독자가 몰입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발단 (Introduction):

                • 설정: 소설의 시작 부분으로, 이야기의 배경, 주요 등장인물, 그리고 기본적인 상황이 소개됩니다. 여기서 독자는 이야기의 시간적, 공간적 배경을 이해하고, 주요 인물들의 성격과 그들이 처한 상황을 파악하게 됩니다.
                • 기본 갈등: 이야기를 이끌어갈 중심 갈등이나 문제도 이 단계에서 암시되거나 명확히 제시됩니다. 이는 독자가 앞으로의 전개에 대한 기대를 갖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2. 전개 (Rising Action):

                • 갈등 발전: 중심 갈등이 구체화되고, 등장인물들이 이 갈등에 반응하면서 사건이 전개됩니다. 인물들 간의 관계가 발전하고, 그들의 목표와 동기가 분명해집니다.
                • 부수적 사건: 주된 갈등 외에도 다양한 부수적인 사건들이 발생하여 이야기를 더욱 흥미롭게 만듭니다. 이러한 사건들은 주요 갈등에 영향을 미치거나 인물들의 성장을 돕습니다.

                3. 위기 (Climax):

                • 최고조의 긴장: 이야기의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하는 순간입니다. 갈등이 가장 치열해지고, 인물들이 가장 큰 도전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 단계에서 독자는 사건의 결과에 대해 가장 큰 관심과 기대를 갖게 됩니다.
                • 결정적 행동: 주인공이나 주요 인물이 중요한 결정을 내리거나 행동을 취하는 순간입니다. 이로 인해 이야기는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되며,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기 시작합니다.

                4.절정 (Falling Action):

                • 갈등의 해소: 위기에서 발생한 사건의 여파가 정리되고, 중심 갈등이 해결됩니다. 인물들은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며, 이야기는 종결을 향해 나아갑니다.
                • 변화와 성장: 인물들이 겪은 사건을 통해 성장하거나 변화하는 모습이 드러납니다. 이 과정에서 독자는 인물의 변화를 통해 이야기의 주제나 메시지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됩니다.

                5. 결말 (Resolution):

                • 이야기의 마무리: 모든 갈등이 해소되고, 이야기의 주요 사건들이 정리됩니다. 독자는 인물들의 최종 상태와 이야기의 전체적인 의미를 이해하게 됩니다.
                • 후일담: 경우에 따라, 이야기의 주요 사건들이 끝난 후 인물들의 삶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간략히 보여주는 후일담이 추가되기도 합니다. 이는 독자가 이야기의 여운을 느끼며 끝맺음을 하도록 돕습니다.

                4) 결론

                이처럼 플롯은 이야기를 이해하고 즐기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잘 구성된 플롯은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독자나 관객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며 이 같은 구조는  독자가 이야기를 더 쉽게 따라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흐름 속에서 긴장감과 감정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단계는 이야기의 몰입도를 높이고, 독자가 인물들과 사건에 감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