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질병에 강한 우리들의 반려견 품종, TOP-10을 소개합니다. 유전병 중심의 전문가이드입니다. 한번 알아봅시다.
1. 오스트레일리안 캐틀 독 (Australian Cattle Dog)
오스트레일리안 캐틀 독은 대체로 건강한 품종이지만, 일부 유전적 문제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품종은 진행성 망막 위축증(Progressive Retinal Atrophy, PRA)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편이나, 완전히 면역되지는 않습니다. 또한, 선천성 귀먹음증(Congenital Deafness)의 발생률이 다른 품종에 비해 낮습니다. 그러나 고관절 이형성증(Hip Dysplasia)에는 여전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 주요 유전병 저항성:
- 진행성 망막 위축증(PRA) 저항성 강함
- 선천성 귀먹음증 발생률 낮음
- 주의해야 할 유전병:
- 고관절 이형성증
2. 베센지 (Basenji)
베센지는 특이하게도 팬코니 증후군(Fanconi Syndrome)이라는 신장 질환에 취약한 편이지만, 이를 제외한 다른 유전병에는 비교적 강한 편입니다. 특히 많은 순종견에서 문제가 되는 고관절 이형성증과 슬개골 탈구(Patellar Luxation)의 발생률이 매우 낮습니다.
- 주요 유전병 저항성:
- 고관절 이형성증 발생률 낮음
- 슬개골 탈구 발생률 낮음
- 주의해야 할 유전병:
- 팬코니 증후군
3. 시베리안 허스키 (Siberian Husky)
시베리안 허스키는 유전성 백내장(Hereditary Cataracts)에 다소 취약한 편이지만, 다른 많은 유전병에 대해서는 강한 저항성을 보입니다. 특히 호흡기 질환인 기관 허탈(Tracheal Collapse)의 발생률이 매우 낮으며, 많은 대형견 품종에서 문제가 되는 위염전(Gastric Dilatation-Volvulus, GDV)에도 강한 편입니다.
- 주요 유전병 저항성:
- 기관 허탈 발생률 매우 낮음
- 위염전(GDV) 저항성 강함
- 주의해야 할 유전병:
- 유전성 백내장
4. 그레이하운드 (Greyhound)
그레이하운드는 대부분의 유전병에 강한 저항성을 보이는 품종입니다. 특히 많은 대형견에서 문제가 되는 고관절 이형성증의 발생률이 매우 낮습니다. 또한 골육종(Osteosarcoma)에 대한 저항성도 강한 편입니다. 그러나 특이하게도 이 품종은 마취제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 수술 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주요 유전병 저항성:
- 고관절 이형성증 발생률 매우 낮음
- 골육종 저항성 강함
- 주의해야 할 점:
- 마취제 과민성
5. 푸들 (Poodle)
푸들은 대체로 건강한 품종이지만, 크기에 따라 주의해야 할 유전병이 다릅니다. 토이 푸들과 미니어처 푸들은 슬개골 탈구에 주의해야 하지만, 다른 소형견에 비해 그 발생률이 낮은 편입니다. 스탠다드 푸들은 고관절 이형성증과 안구질환인 진행성 망막 위축증(PRA)에 주의가 필요하지만, 역시 다른 대형견 품종에 비해 발생률이 낮습니다.
- 주요 유전병 저항성:
- 대부분의 유전병에 대해 평균 이상의 저항성
- 주의해야 할 유전병:
- 토이/미니어처: 슬개골 탈구(발생률은 낮은 편)
- 스탠다드: 고관절 이형성증, 진행성 망막 위축증(PRA)(발생률은 낮은 편)
6. 비글 (Beagle)
비글은 대체로 건강한 품종이지만, 일부 유전병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체리 아이(Cherry Eye)라고 불리는 제3안검 선 탈출증의 발생률이 다소 높은 편입니다. 그러나 많은 중형견에서 문제가 되는 고관절 이형성증과 슬개골 탈구의 발생률은 매우 낮습니다. 또한 많은 순종견에서 나타나는 유전성 안구질환의 발생률도 낮은 편입니다.
- 주요 유전병 저항성:
- 고관절 이형성증 발생률 낮음
- 슬개골 탈구 발생률 낮음
- 유전성 안구질환 발생률 낮음
- 주의해야 할 유전병:
- 제3안검 선 탈출증(체리 아이)
7. 잭 러셀 테리어 (Jack Russell Terrier)
잭 러셀 테리어는 대체로 건강한 품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품종은 많은 소형견에서 문제가 되는 슬개골 탈구(Patellar Luxation)의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또한 레그-칼베-퍼테스 병(Legg-Calvé-Perthes Disease)에 대한 저항성도 강한 편입니다. 그러나 일부 개체에서는 선천성 난청(Congenital Deafness)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주요 유전병 저항성:
- 슬개골 탈구 발생률 낮음
- 레그-칼베-퍼테스 병 저항성 강함
- 주의해야 할 유전병:
- 선천성 난청
8. 차우차우 (Chow Chow)
차우차우는 일부 유전병에 취약한 편이지만, 특정 질병에 대해서는 강한 저항성을 보입니다. 이 품종은 눈꺼풀 외번증(Ectropion)과 내번증(Entropion)의 발생률이 다소 높은 편이나, 많은 대형견에서 문제가 되는 위염전(Gastric Dilatation-Volvulus, GDV)에 대한 저항성이 강합니다. 또한 유전성 백내장(Hereditary Cataracts)의 발생률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 주요 유전병 저항성:
- 위염전(GDV) 저항성 강함
- 유전성 백내장 발생률 낮음
- 주의해야 할 유전병:
- 눈꺼풀 외번증 및 내번증
9. 슈나우저 (Schnauzer)
슈나우저는 크기에 따라 미니어처, 스탠다드, 자이언트로 나뉘며, 각각 다른 유전병 경향을 보입니다. 전반적으로 슈나우저는 많은 유전병에 대해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미니어처 슈나우저는 진행성 망막 위축증(Progressive Retinal Atrophy, PRA)에 대한 저항성이 강합니다. 스탠다드와 자이언트 슈나우저는 고관절 이형성증(Hip Dysplasia)의 발생률이 다른 중대형견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그러나 모든 크기의 슈나우저에서 췌장염(Pancreatitis)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주요 유전병 저항성:
- 미니어처: 진행성 망막 위축증(PRA) 저항성 강함
- 스탠다드/자이언트: 고관절 이형성증 발생률 낮음
- 주의해야 할 유전병:
- 췌장염
10. 보더 콜리 (Border Collie)
보더 콜리는 지능이 높고 활동적인 품종으로, 대체로 건강한 편입니다. 이 품종은 많은 중형견에서 문제가 되는 슬개골 탈구(Patellar Luxation)의 발생률이 매우 낮습니다. 또한 유전성 백내장(Hereditary Cataracts)에 대한 저항성도 강한 편입니다. 그러나 일부 개체에서는 콜리 눈 이상(Collie Eye Anomaly)과 고관절 이형성증(Hip Dysplasia)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주요 유전병 저항성:
- 슬개골 탈구 발생률 매우 낮음
- 유전성 백내장 저항성 강함
- 주의해야 할 유전병:
- 콜리 눈 이상
- 고관절 이형성증
결론
이상으로 질병에 강한 것으로 알려진 10가지 개 품종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각 품종은 특정 유전병에 대해 강한 저항성을 보이지만, 동시에 주의해야 할 유전적 문제도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건강한 반려견을 키우기 위해서는 품종 선택뿐만 아니라, 책임감 있는 브리더로부터의 입양, 정기적인 수의사 검진, 적절한 영양 공급과 운동 등이 모두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정보는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낸 것이며, 개별 동물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반려견 입양을 고려하고 계시다면, 반드시 전문 수의사와 상담하여 더 자세한 정보를 얻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아지톡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요태그:
#강아지품종, #유전병, #건강한반려견, #오스트레일리안캐틀독, #베센지, #시베리안허스키, #그레이하운드, #푸들, #비글, #잭러셀테리어, #차우차우, #슈나우저, #보더콜리, #진행성망막위축증, #고관절이형성증, #선천성귀먹음증, #팬코니증후군, #슬개골탈구, #유전성백내장, #기관허탈, #위염전, #골육종, #마취제과민성, #제3안검선탈출증, #레그칼베퍼테스병, #선천성난청, #눈꺼풀외번증, #눈꺼풀내번증, #췌장염, #콜리눈이상, #반려동물건강, #수의학, #유전자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