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상공모전 기획의 꿀팁이라고?
-목 차-
우선 기획이니까 영상공모전 수상이 목표일거고, 모든 것은 소통이지.
그럼 전년도, 매년 수상작을 분석하는 일도 중요하겠고...
여기서 잠깐, 혼자가 아니라면
팀원이 있어야 겠조. 집단 지성, 지성이면 감천이다.
1) 맘맞은 사람으로 팀을 구성하라
팀이 구성되면 목표를 향해 가야 하는 데 여기에 기획이 필요하지.
기획서는 공모전 주체측에서 어떻게 요구하고 있으며 작성하는 요령을 뭘까?
이것이 오늘 주제야.
대개 공모전 양식은 다음과 같은데...

재목, 분량(제출할 영상 포맷, 시간을 정해주고), 장르는?
예상 영상제작일(기획단계의 타임스케줄, 맨먼쓰라고)은 중요하지만 공모전 서식제출에서 그닥,,,
기획의도및 주제, 이건 아주 중요하지 그런데 주체측에서 주제는 주는 경우가 많아...
참고영상, 기획의도나 영상기법이 유사한 영상, 사진 삽입을 하는 것도 요령일뜻, 내가 그만큼 분석하고 보고 실습해 봤다는 이야기이니...
2) 등장인물, 인물도
라도 그리면 좋겠고, 줄거리, 시놉시스는 중요하고
시나리오, 스토리보드, 그리고 샷리스까지 준비된다면 완벽, 안벽하게 마음을 열게 하는 거징..완벽을 안벽으로
벽을 없애고 볼 검토할수 있게 이제 하나하나 볼까?
: 전년도 영상과 기획의도 정확히 알아내자.
2. 공보전 내용 - 분석하기
팀원을 구성한 뒤에는 본격적으로 영상 기획에 들어가는데 기획의 시작은 현상황을 분석하는 일이지
공모전에 입상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점은 뭘까?
아땋게 하면 심사위원의 마음을 사로 잡을까?
기획은 소통이라고 했지
의도 파악!!!!
그리고 나는 의미로 이해하기.

우리 팀원들이 각자 분석하고 분석한 내용을 브레인 스토밍하는 거야.
1) 자, 전년도 수상작을 보자.
그리고 이 공모전이 원하는 메세지와 영상 구성을 파악하는 것이 아주아주 중요하지, 이것이 영상 분석단계에 있는 일이지
또한, 공모전이 전하려는 메세지가 바뀌거나 sns 업로드로 인한 가점과 같은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서 꼼꼼히 공모전 요강을 읽어보는 것은 정말 필수 중에 필수! <<---이건 아주 좋아요!!!
무작정 떠나는 enfp유형이 아니라 꼼꼼분석하는 INFJ가 되자...일단 반대로...
/화면 디자인이란 뭐지?
2) 다음은 시나리오를 작성해야지
시나리오는 영상을 만들기 위한 이야기를 말해, 영상으로 바꾸기 위한 이야기글을 우리는 시나리오라고 불러, 오케이
이 시나리오 약간의 형식form을 가지고 있지, 글쓰는 폼이 다르다는 거야. 어떻게 이렇게
이폼은 약속된 내용이라고 우리는 코딩이란 말을 쓰지, 프로그램 언어에서 말하는 코딩, 말이양



한마디로 씬(장소,시간)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거지. 먼저 어떤 이야기를 쓸까?
대략의 줄거리를 정리하면 좋겠지
나는 이러이러한 이야기를 쓸래
이야기를 우리는 시놉시스라고 불러, 간단히 이야기의 줄거리를 말하지
이렇게 시놉시스를 작성한다면 이를 중심으로 실을 뽑아내는 거지, 이야기를 작성하는 거야. 근데 우리는 이야기를 여기서는 시간과 장소를 중심으로 풀어가는 시나리오라는 말을 쓴다고 했다. 그리고 우린 시나리오를 작성하게 되징.
결국 시나리오는 시놉시스의 줄거리에 살을 붙이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쉽거징, 실을 뽑아 실타래를 만들고 그것을 엮어서 옷을 만들듯, 옷을 만들때 어떤 과정이 있는 지 생각해보자고...
시나리오는 결국 어떤 공간에 어떤 인물이 살아가는 이야기야, 따라서 등장인물이 있고 이를 구체화 시키고, 그가 만나는 사건으로 이야기는 이끌어가지 물론 그속에는 대사, 행동등이 있게 되 이렇게 구성하게 되겠징
조금더 시나리오는 전체 이야기라면, 이를 분석? 나누어보면 작은 이야기 덩어리인 시퀸스로 나누고, 이것을 시간과 공간으로 나누면 씬이 되지, 어떤 씬속에 몇개의 숏, 촬영단위로 구성되는 것이 시나리오당.....
당 당.....
시퀀스는 어떤 사건이 발생해서 끝날 때 까지 영상의 단위를 말합니다. 이야기 덩어리이지, 작은 이야기, 이야기들이 모여 이야기가 완성돼..
씬은 장 장소나 시간에서 이루어 지는 영상의 단위인데요,
시나리오는 씬 단위로 작성하고 촬영 계획서 작성을 위해서 샷리스트를 만들고 이를 계획하게 되지, 결국 우리들은 영상예술을 하는 기술자들이지, 그래서 샷 리스트를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해, 이를 연출 감독이 완성한단 말이양. 그래서 각본(시나리오)에 대한 각색이 만들어질수 밖에 없는 거징.
마지막으로 컷은 카메라의 녹화 버튼을 눌러 끊을 때 까지 촬영된 단위입니다. 촬영의 최소단위, 래디-액션에서 컷까지를 말해...
컷이 여러개 모여서 하나의 씬을 형성하는 반대로 하나의 씬속에서 만들어지는 컷들이 모여 모여 이야기가 되는 거징, 시나리오가 되는 거징
컷이 나오기 위해서는 씬을 스토리보드로 완성하는 기획과정이 있게 되는 거양
3 스토리보드가 뭔데
스토리 보드는 오디오 / 화면 설명 / 영상으로 나누어 작성하며 쉽게 구현할수있지
이들 각각은 같이 나누어져
오디오 : 나레이션 / BGM / 효과음
영상 : 컷의 레퍼런스나 콘티
화면 설명 : 장면 내의 움직임이나 특이점 설명
이렇게 완성된 스토리보드, 콘티는 시나리오를 어떻게 볼것인지를 각 팀들에게 전달되게 되지
촬영팀과 편집팀, 무대 연출팀등, 조명, 사운드등
이렇게 할때 보다 원활히 각팀이 작동하는 거지, 이 스토리보드가 샷리스트를 만드는데 도움을 주지
주로 컷 단위로 구상을 하는 이런 사람을 우리는 아드디렉터라고 불러, 그유명한 히치콕도 아트드렉터, 스토리보드 디자이너였거든...앵글에 대한 구성이 어렵다면, 기존의 드라마나 영화의 앵글을참조해서 스토리 보드를 작성하는 편이 수월하지 하지만 걱정마!!!
앵글은 딱 3개가 기본이고, 더 첨가된다는 말씀, 여기서 양념하나는 프레임내 피사체의 크기가 중요하지
우리가 알고 있는 클로즈업, 롱샷 말이양
스토리보드작성은...

모든것은 선택의 문제야
인생도
공보전도
촬영도
편집도
오늘은 그런 선택의 문제를 숙제로 내고
마칠거양...
안뇽!!!
4 하나더
학점을 잘 받아된다면 다음을 제출하기
나는 이런 공모전 기획서를 썼습니다.
기말과제: 공모전 기획서를 완성해서 제출합니다.
1) 공모전을 뒤진다.
2) 공모전 수상작을 분석한다.
3)그들의, 다수의 공모전 기획서를 조사한다.
4)나라면, 내가 출품한 공모전을 정하거나 만들고 공모전 기획서를 제출한다.
## 기말과제 나의 공모전 기획서를 완성하시요